저체온증 훌훌~ 03 내 몸의 저체온증 왜 문제일까? 外


Part 3
◈ 내 몸의 저체온증 왜 문제일까? ◈

허약한 현대인을 만들어버린 원흉으로 꼽히는 저체온증. 우리 몸의 체온이 1도 정도 낮아지면 면역력이 30%나 저하된다고 했다. 그런데 조금 피상적이다.

체온 1도 낮아지면 우리 몸에 어떤 일이 일어나길래 의학계에서 이토록 우려할까?

전문 의학박사는 “현대인의 낮은 체온은 가벼운 감기부터 난치병인 암까지 다양한 질병 발생에 깊숙이 관여돼 있다.”고 밝히고 “그것은 저체온증이 우리 몸의 전반적인 신진대사를 나쁘게 하고 세포의 활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실제로 체온이 떨어지고 면역력이 약해지면,

◎ 감기나 대상포진 등 감염성질환에 걸리기 쉬운 몸이 된다.
◎ 아토피, 천식 등 알레르기질환에 노출되기 쉽다.
◎ 심근경색이나 뇌경색 등의 혈전증에 잘 걸린다.
◎ 류머티스나 궤양성 대장염 등 자가면역질환에 걸리기 쉽다.
◎ 암이나 고혈압, 비만 같은 치명적인 질환의 발생률도 높아진다.
◎ 체온이 떨어지면 당분이나 지방과 같은 혈중 에너지원과 노폐물이 제대로 연소되고 배설되지 못해 당뇨병이나 고지혈증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
◎ 자살이나 우울증 등 정신질환의 발생에도 깊숙이 관여돼 있다.

전문 의학박사는 “이렇게 많은 질병이 저체온과 깊이 관련돼 있는데 현대의학이 이를 간과하고 있는 것이 안타깝다.”며 “체온은 인간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는 중요한 요소이며, 체온관리가 곧 건강관리”라고 강조한다.


Part 4
◈ 혹시 나도 저체온증? 스스로 체크법 ◈

혹시 나도 저체온증이 아닐까? 의심된다면 자신에게 해당되는 질병을 체크해 보자. 체크 개수가 많을수록 저체온증이라고 보면 된다.

◎ 만성 소화불량, 배탈, 변비, 위하수, 비만, 당뇨
◎ 비염, 알레르기, 천식, 관절염, 협심증, 저혈압, 뇌졸중
◎ 여드름, 아토피, 몸살감기, 시력 저하
◎ 생리통, 요실금, 우울증, 치매, 노화 촉진


받은 글입니다.

저체온증 훌훌~ 02 내 몸의 체온을 떨어뜨리는 주범 뭘까?


Part 2
◈ 내 몸의 체온을 떨어뜨리는 주범 뭘까? ◈

현대인의 체온이 35도 대? 정말 그럴까?

아마 이 글을 읽고 있으면서도 반신반의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그래서 이 글을 쓰고 있는 필자도 한번 재보기로 했다.

2010년 12월 15일 오전 12시, 회사 근처 병원에서 무료로 해주는 귀 체온계로 체온을 측정했다.

그 결과 나오는 수치는 35도, 키 165cm에 몸무계 53kg, 특별히 아픈 곳 없는 30대 후반의 나이대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없었다.

측정을 마친 간호사도 “요즘 체온 측정을 해보면 ”대부분 35도로 나오지 36.5도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고 말한다.

우리의 체온이 우리도 모르는 사이 1도 가까이 떨어져 있다는 것은 결코 빈말이 아니었던 것이다.

그 이유가 뭘까? 이 물음에 전문 의학박사는 “오늘날 우리가 누리고 있는 편리하고 쾌적한 생활이 우리 몸의 체온을 1도 정도 떨어뜨려 놓은 주범”이라고 말한다.

우리가 매일 먹는 음식, 우리가 사는 환경, 심지어 우리의 생활패턴까지도 우리 몸의 체온을 1도 떨어뜨리는 데 일조를 담당하고 있다는 것.

우리 생활 깊숙이 관여돼 있으면서 내 몸의 체온을 떨어뜨리는 대표적인 주범들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 집집마다 있는 냉장고는 사시사철 식품을 차갑게 보관해 준다.
* 겨울에도 청량음료, 맥주 등을 자주 마신다.
* 목욕은 샤워로 간단하게 끝낸다.
* 좀체 운동할 기회가 없다.
* 만성적인 스트레스에 노출돼 있다.
* 과식하거나 편식하는 습관이 있다.
* 흰쌀, 빵, 우동, 스파게티 등을 자주 먹는다.
* 여름에는 집에서든 밖에서든 에어컨이 가동되고 있다.
* 수면 부족이 심하다.

전문 의학박사는 “이들 원인들에 의해 우리 몸은 저체온 상태가 되면서 면역기능이 약하고 체력도 약하며 기운도 없는 허약한 현대인이 되어 버렸다.”고 걱정한다.


받은 글입니다.

저체온증 훌훌~ 01 체온이 뭐기에?


*◀◐▶*저체온증 훌훌~체온 1도 올리기 대책*◀◑▶*

내 몸의 체온은 몇도 일까? 아마도 다들 36.5도일 거라고 철석같이 믿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 재어보면 의의의 결과 앞에서 잠시 먹먹해진다. 현대인들의 대부분의 체온이 이보다 1도 정도 낮은 35도 대인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던져주고 있다.

체온 1도 낮다고 웬 난리냐고? 가볍게 생각해서는 결코 안 된다. 내 몸의 체온이 1도 낮아지면 내 몸의 면역력은 30%나 약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체온 저하는 곧 내 몸 건강의 적신호가 된다. 감기를 비롯한 각종 질병을 유발하는 도화선이 된다.

나는 괜찮을까? 걱정된다면 낸 몸의 적정 체온 36.5~37.1도를 사수하기 위한 대책에 각별한 관심을 가져보자.


Part 1
◈ 체온이 뭐기에? ◈

심방 뛰는 소리, 코끝으로 스며나오는 숨결, 그리고 내 몸의 따스한 온기...

오늘 내가 살아있다는 대표적인 증거이다. 그 중에서도 따스한 온기는 우리가 어릴 적부터 달달 외어온 숫자 36.5도를 말한다. 이른바 내 몸의 체온이다.

내 몸의 체온은 항상 같은 온도를 유지하도록 설계돼 있다. 애초부터 그랬다. 아무리 추워도, 아무리 더워도 내 몸의 정상 체온은 36.5도에서 37.1도를 유지해야 한다.

그래서 조금 어려운 말로 사람을 일러 항온동물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런데 지금 그 체온이 문제다. 오늘날 우리 몸의 체온이 우리가 잘 아는 36.5도가 아니라는 주장이 잇따라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그 진원지는 일본. 일본의 전직 수상과 국회의원, 의사들이 주치의로 활동하는 이시하라 유미 의학박사는 병을 이기는 새로운 건강법으로 체온 면역요법을 내놓으면서 “지난 반세기 동안 인간의 체온은 1도 가까이나 떨어져 35도 대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히고 “이것은 우리 몸에 심각한 위험이 되고 있다.”고 우려한다.

체온이 1도 낮아지면 우리의 면역력은 30%나 떨어지고, 반대로 체온이 1도 올라가면 우리 몸의 면역력은 5배나 높아지기 때문이다.

여기서 말하는 면역력은 모르는 사람이 없을 것이다. 우리 몸을 지키는 힘이다. 각종 병원균이 우리 몸에 들어왔을 때 이를 이겨내는 힘을 말한다.

따라서 면역력이 높아지면 각종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노출돼도 질병에 걸릴 위험성은 현저히 낮아진다.

면역력이 낮아지면 그 반대다. 감기에 자주 걸리고 만성피로에 시달리는 등 각종 질병에 걸리기 쉽다.

이쯤 되면 결론은 분명해진다. 1도 정도 낮아져 있는 내 몸의 체온을 하루 빨리 끌어 올려야 한다.

우리나라 전문 의학박사도 “우리 몸의 정상체온은 36.5도에서 37.1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건강한 상태”라고 밝히고 “평소 손발이 차다, 소화가 잘 안 된다, 빈혈기가 있다, 오전 중에는 힘이 나지 않는다고 호소하는 증상도 대부분 체온이 낮은 것과 무관하지 않다.”고 우려한다.


받은 글입니다.

1,000억 짜리 강의

1,000억 짜리 강의

명예, 지위, 돈, 어느 것 하나 빠지지 않고 대단한 성공을 거둔 사람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강의를 하고 있었습니다. 대학생과 기자들은 그의 강의를 듣기 위해 몰려들었지요.

그는 평소에 강의나 인터뷰를 하지 않는 것으로 유명했기 때문에 그 기회를 놓칠 수가 없었던 것입니다. 사람들은 그의 강의를 듣기 위해 귀를 쫑긋 세우고 있었습니다.

그는 등장하자마자 칠판에 무언가를 적었습니다.

“1,000억!”

그리고 말을 시작했습니다. “전 재산이 아마 천 억은 훨씬 넘을 것입니다.” 사람들은 다 알고 있었던 사실이었으므로 고개를 끄덕였지요. “여러분, 이런 제가 부럽습니까?” “네!” 여기저기서 대답이 들려왔습니다. 이 대답을 들은 그는 웃으며 강의를 시작했습니다.

“지금부터 이런 성공을 거두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강의를 시작하겠습니다. 1,000억 중에 첫 번째 0은 바로 명예입니다. 그리고 두 번째 0은 지위입니다. 세 번째 0은 돈입니다. 이것들은 인생에서 필요한 것들입니다.”

사람들은 고개를 끄덕였습니다. “그럼 앞에 있는 1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1은 건강과 가족입니다. 여러분 만일 1을 지우면 1,000억이 어떻게 되나요? 바로 0원이 되어버립니다. 그렇습니다. 인생에서 명예, 지위, 돈도 중요하지만 아무리 그것을 많이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건강과 가족이 없다면 바로 실패한 人生이 되어 버리는 것입니다.”

사람들은 그제야 진정한 성공의 의미를 알겠다는 듯 고개를 끄덕였답니다.


받은 글입니다.

15:4의 법칙

15:4의 법칙

시작하기 전에 15분 동안 무엇을 할 것인지 생각하면, 나중에 4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미리 하루의 일을 생각해서, 우선순위를 정하고 하루의 업무를 조직화한 사람은 생각 없이 하루를 보내는 사람들보다 성공할 가능성이 훨씬 높다.

Spending fifteen minutes thinking about what you are going to do before you start will save four hours of wasted time later on. Any individual who has thought through her workday, set priorities, and organized the days’ tasks is likely to accomplish far more than someone who randomly moves through the day.

- 제임스 보트킨 (James W. Botkin)


성공하는 사람들은 늘 먼저 큰 그림을 그리는 반면, 실패하는 사람들은 생각 없이 바로 일에 착수하는 습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장작을 패는 데 쓸 수 있는 시간이 8시간이라면, 나는 그중 6시간 동안 도끼날을 날카롭게 세울 것이다.’라는 링컨의 말을 실천하는 사람이 성공에 가까이 갈 수 있는 사람입니다. 아주 작은 습관의 차이가 성패를 가릅니다.

People who have a tendency to mindlessly start a task without planning things ahead are doomed to fail, whereas people who draw out the bigger picture before starting anything are likely to succeed. Lincoln once said “If I had eight hours to chop down a tree, I'd spend six sharpening my axe.”- those who follow these words will be closer to success. A small difference in routine can determine success or failure.


받은 글입니다.

Tragedy, Jennifer Jareau from Criminal Minds


Jean Racine said, "A tragedy need not have blood and death; it's enough that it all be filled with that majestic sadness that is the pleasure of tragedy."

- A. J. Cook-Andersen as Jennifer Jareau from Criminal Minds [Criminal Minds 06.02 JJ]

진 레이신은 말했다. 비극은 피나 죽음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장엄한 슬픔으로 가득 채워있으면 충분하다.

- 제이제이, 크리미널 마인드

Tragedy, Jean Racine


A tragedy need not have blood and death; it's enough that it all be filled with that majestic sadness that is the pleasure of tragedy.

- Jean Racine (1639-1699)

비극은 피나 죽음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장엄한 슬픔으로 가득 채워있으면 충분합니다.

- 진 레이신

A플레이어는 일에서 일을 배운다!

A플레이어는 일에서 일을 배운다! (역량계발법)
반복하는 실수를 주목하라.!

역량개발이 잘 안되는 이유 중 하나는 자신이 무엇을 모르는지 모른다는 것이다.

즉, 자신에게 필요하거나 부족한 역량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없다는 뜻이다. 그렇다 보니 전혀 엉뚱한 곳에서 자기계발을 한다며 시간과 노력을 허비하게 된다. 그것이 무엇이든 그나마 제대로 배워놓기라도 하면 언젠가 도움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현재 자신의 일과 거리가 있는 것이기 때문에 반드시 익혀야 한다는 절박함이 없고, 이러한 일과 학습활동의 괴리는 학습의 효율성을 떨어뜨린다. 당장 써먹을 수 없는 것이니 금세 잊어버리는 것이다.

따라서 무엇보다 먼저, 자신이 현재 또는 가까운 미래의 일과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 파악해야 한다. 여기에 도움이 될 만한 몇가지 방법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금까지 자신의 일과 관련해 들었던 부정적인 피드백을 생각해본다.

일을 하다 보면 대개 같은 실수가 반복되기 마련이다. 그래서 듣게 되는 부정적인 피드백도, 가만히 따져보면, 상황만 다를 뿐 엇비슷한 것들이다. 일과 관련해 부정적인 피드백이 존재하는 곳에 바로 자신이 개발해야 할 역량이 있다.

둘째, 일 잘하는 사람을 관찰한다.

일을 잘하는 사람은 대개 그 분야에서 역량이 높은 사람이다. 그가 일하는 모습이나 성취해내는 결과물을 찬찬히 관찰해보면, 자신의 것과 다른 차이점들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바로 그 차이점들이 자신이 개발해야 할 역량이다.

셋째, 어떤 일을 할 때 자신이 가장 싫어하는 분야를 찾는다.

일을 할때 선뜻 손이 가는 분야가 있고 항상 뒤로 미루게 되는 분야가 있다. 언젠가 나는 내가 일을 할때마다 사람을 만나는 인터뷰를 자꾸만 뒤로 미루고 귀찮아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내 일의 특성상 인터뷰는 매우 중요한 것인데도 나는 그것을 하기 싫어했던 것이다. 그런데 곰곰이 생각해보니 나는 그 일을 싫어했던 것이 아니라, 잘할 수 있는 역량이 부족했다. 잘할 자신이 없으니 계속 미룬 것이었다. 이렇듯 자신이 싫어하는 분야에는 부족한 역량이 존재한다.

마지막으로, 일의 트렌드를 놓치지 않기 위해 노력한다.

모든 일은 진화한다. 그리고 그 진화의 속도는 갈수록 빨라지고 있다. 세상이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어떤 일들은 전혀 다른 성격의 일들과 통합되고, 또 어떤 일들은 다른 일로 대체되어 완전히 사라져버리기도 한다. 1990년대와 2000년대 직장에서 나타난 가장 큰 변화 중 하나를 언급하자면, 모든 일의 명칭 앞에 e자가 붙었다는 것이다. 그것은 모든 일에 혁명을 불러왔다. 자신의 일에서 이러한 환경적인 변화를 반영하지 못한다면 전형적인 구시대 사람이 되고 만다. 고객은 말할 것도 없고, 자신의 일과 관련된 모든 분야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고, 그 변화가 자신의 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항상 예의주시하고 있어야 한다. 일의 트렌드를 읽으면 자신이 어떤 역량을 추가로 개발해야 할 지 알수 있다.


받은 글입니다.

ALPACO [alpha@alpaco.co.kr]

Science, Albert Einstein


My sense of God is my sense of wonder about the Universe.

- Albert Einstein (1879-1955)

내게 신이란 우주만물에 대한 나의 경외감이다.

- 알버트 아인슈타인

님의 향기

시월엔 아무도 없는 길을 홀로 걸어 봐야지...


노랗고 붉게 물들어 떨어지는 낙엽을 서걱서걱 밟으며 뒤돌아 보지 않고 걷는 거야. 석양이 지는 풍경 속으로...


언덕에 머물면 무겁지 않은 침묵에 젖어 가을을 만끽하며 분위기도 잡아 봐야지...


촛불이 켜진 카페 아늑한 음악이 흐르면 커피향에 미소를 담아 까만 하늘 가장 반짝이는 별에게 보낼 거야!


코끝이 시큰한 시월엔 그 무엇보다 사랑을 가슴 가득 품고 진하게 삶을 애무해야지... 라고...마음먹었던 날이 엊그제였는데...


시월초 이가을에 품었던 소박하고 작은 소망을 아직 다 이루지도 못했는데 아니벌써 시월 끝자락 주말이라니... 시간이 너무 빠릅니다!


이젠 제법 아침 저녁의 날씨가 차갑네요. 환절기 감기들 조심하시구요~ 오늘도 따스한 레몬차 한잔 드시구 시월의 마지막 주말 잘 보내시고 아름다운 이 가을 행복한 날 되세요.


받은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