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자고궁(君子固窮)
박재희
안녕하십니까? 박재희입니다.
조선시대 서화가이자 실학자였던 추사 김정희(金正喜) 선생은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예술가이자 문학가였다.
특히 서화에 능했던 김정희 선생은 추사체라는 독특한 서체를 대성시켰으며 예서 행서의 새로운 전형을 남긴 분으로도 유명하다. 제주도 유배를 포함하여 다양한 인생 역정을 겪었던 추사 김정희 선생, 그가 1844년 제주도 유배시절 그의 제자 이상적에게 준 그림 ‘세한도(歲寒圖)’는 보물 180호로 지정되어 지금도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눈 내린 추운 겨울, 엄동설한에도 시들지 않고 서있는 소나무(松)와 잣나무(柏) 그림은 우리에게 어려운 시절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잘 보여주는 기상이 서려 있다.
세한에는 추사가 직접 쓴 글이 있는데 그 글귀 속에는 논어의 한 구절이 들어가 있다.
세한연후지송백지후조야(歲寒然後知松柏之後凋也),
세월이 추워진 연후에 소나무와 잣나무가 늦게 시든다는 것을 안다.
세탁연후지군자지불변(世濁然後知君子之不變)
세상이 추워지고 온통 눈으로 뒤 덮여 추위와 바람만이 가득할 때, 그 추위에도 아랑곳 하지 않고 푸름을 잊지 않고 서 있는 소나무의 기상을 그린 세한도의 의미를 잘 보여주는 글이다.
사람은 위기가 닥쳐봐야 그 사람을 알 수 있다고 한다. 평소에 그렇게 자신만만하고 정감 많은 사람이 위기에 닥치면 전전긍긍 어찌할 줄 모르고, 의리와 신념을 쉽게 포기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추운 겨울에 어떤 나무가 정말 강한 나무인지 알듯이 어렵고 힘든 위기상황은 그 사람의 정신력과 위기대응지수를 알게 해 주는 좋은 기회일 수 있다.
논어(論語)에 보면 군자(君子)는 어려울수록 더욱 단단해지고 강해지는 사람이라 하고(君子固窮), 소인(小人)은 어려움이 닥치면 쉽게 포기하고 넘쳐버리는 사람(小人窮濫)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공자의 제자들이 공자와 세상을 주유(周遊)할 때 진(陳)나라에서 최악의 위기상황을 맞이하였다. 제자들은 아무 것도 먹지 못하여 대부분 병이 들었고 몸을 일으킬 힘조차 없었다. 이런 궁한 상황에서 공자의 다혈질 제자 자로(子路)는 공자를 만나 이렇게 따졌다. “선생님! 군자도 이렇게 궁한 상황에 처할 수 있습니까?”
자로의 이 물음 속에는 공자를 믿고 따르는 아무 죄 없는 제자들이 왜 이런 힘든 상황에 처해야 하는지를 공자에게 따져 묻는 것이었다. 공자의 대답은 아주 간단하였다.
“군자는 어려울수록 더욱 단단해지는 사람이다(君子固窮). 그러나 소인은 어려운 상황이 닥치면 곧 원칙을 버리고 넘치게 되지(小人窮斯濫).”
공자의 이 말 속에는 어려움 속에 대처하는 두 가지 인간의 전형을 정확하게 분석하는 논리가 있다.
어려움(窮), 그 상황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어려움 상황에 대처하는 사람의 정신이 더욱 중요하다는 것이다.
궁(窮)한 상황에서 더욱 단단해(固) 질 것인가? 아니면 넘쳐(濫) 흘러 이성을 잃고 우왕좌왕 할 것인가?
성공한 사람들의 비밀은 바로 여기에 있다. 그들은 어떤 상황에서도 굴하지 않고 버텨낸 고궁(固窮)의 정신이 있었던 것이다. 어려운 역경이 사람을 더욱 강하게 한다.
주변의 성공한 분들은 추위 속에서 견뎌 낸 소나무 처럼 잣나무 처럼 역경 속에서 절대로 굴하지 않고 묵묵히 위기를 겪어 내신 분들이다!!
군자고궁!!!
감사합니다. 박재희 였습니다.
http://www.nethyangki.net/CDN/View.aspx?num=8526
넷향기(postmaster@nethyangki.net)님이 보내주신 글입니다.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君子固窮(군자고궁) |
Showing posts with label 4자성어.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4자성어. Show all posts
香遠益淸 (향원익청)
香遠益淸(향원익청)
연꽃 향기는 멀리 갈수록 맑은 향기를 더한다.
이 말은 유난스레 연꽃을 사랑했던 중국의 화가 주돈이가 '애련설'에서 했던 말입니다. 연꽃은 해가 지면 꽃잎을 오므렸다가 다음날 아침 해가 뜨면 밤새 오므렸던 꽃잎을 활짝 열어 다시 피어납니다.
그래서 주돈이의 아내는 저녁이면 종이에 차를 싸서 연꽃 속에 재워 두었다가 아침에 꽃이 열리면 차를 꺼내 사랑하는 이에게 차를 끓여 건네곤 했답니다.
꽃속에서 하룻밤을 재운 차는 얼마나 향기로웠을까요. 정성으로 달인차를 건네는 아내가 화가는 얼마나 사랑스러웠을까요.
밤새 꽃속에 차를 재워 두었다가 아침에 향기로운 차를 바치는 마음, 그 정성어린 마음이 곧 사랑이겠지요. 정녕 그러할테지요.
받은 글입니다.
연꽃 향기는 멀리 갈수록 맑은 향기를 더한다.
이 말은 유난스레 연꽃을 사랑했던 중국의 화가 주돈이가 '애련설'에서 했던 말입니다. 연꽃은 해가 지면 꽃잎을 오므렸다가 다음날 아침 해가 뜨면 밤새 오므렸던 꽃잎을 활짝 열어 다시 피어납니다.
그래서 주돈이의 아내는 저녁이면 종이에 차를 싸서 연꽃 속에 재워 두었다가 아침에 꽃이 열리면 차를 꺼내 사랑하는 이에게 차를 끓여 건네곤 했답니다.
꽃속에서 하룻밤을 재운 차는 얼마나 향기로웠을까요. 정성으로 달인차를 건네는 아내가 화가는 얼마나 사랑스러웠을까요.
밤새 꽃속에 차를 재워 두었다가 아침에 향기로운 차를 바치는 마음, 그 정성어린 마음이 곧 사랑이겠지요. 정녕 그러할테지요.
받은 글입니다.
Advice, Chinese Proverb
隐恶扬善 [yǐn'èyángshàn]
- 中國俗談
隐恶扬善(隱惡揚善)yǐn è yáng shàn
Conceal the faults of others and praise their good points.
- Chinese Proverb
남의 나쁜 점은 감싸 주고 좋은 점만을 치켜 세우다. [은악양선(隐恶扬善)]
- 중국속담(中國俗談)
References
Speak well of your friend, of your enemy say nothing.
- Western Proverb
친구의 이야기를 좋게 하고, 적에 대한 이야기는 하지 말라.
- 서양속담
Advice, Chinese Proverb
良药苦口 [liángyàokǔkǒu]
- 中國俗談
Bitter pills may have wholesome effects.
- Chinese Proverb
good medicine tastes bitter; bitter pills may have wholesome effects—good advice is hard to take; the remedy is tough but salutary
좋은 약은 입에 쓰다. [良藥苦口(양약고구)]
- 중국속담(中國俗談)
좋은 약은 입에 쓰다는 뜻으로, 충언(忠言)은 귀에 거슬린다는 말.
良 어질 양(량) | 藥 약 약, 뜨거울 삭, 간 맞출 략(약) | 苦 쓸 고, 땅 이름 호 | 口 입 구 |
《사기(史記)》의 유후세가(留侯世家)에 나오는 말이다.
진(秦)의 시황제가 죽자 천하는 크게 동요하기 시작했다. 많은 사람들이 곳곳에서 진나라를 타도하려고 군사를 일으켰는데 그 중에 유방(劉邦)과 항우(項羽)도 끼어 있었다. 그런데 유방이 항우보다 앞서 진나라의 도읍 함양에 입성했다. 유방은 3세 황제 자영으로부터 항복을 받고 왕궁으로 들어갔다. 궁중에는 온갖 재보와 아름다운 궁녀들이 잔뜩 있었다. 유방은 마음이 동하여 그대로 궁중에 머물려고 했다. 이에 용장 번쾌(樊噲)가 간했다.
“아직 천하가 통일되지 않았습니다. 속히 이곳을 떠나 적당한 곳에 진을 치는 게 좋겠습니다.”
그러나 유방은 듣지 않았다. 이번에는 장량(張良)이 나섰다.
"진(秦)나라의 무도한 학정(虐政)으로 말미암아 귀공 같은 일개 서민이 오늘 왕궁에 들어앉는 기회를 얻었습니다. 귀공은 임무는 한시 바삐 남은 적을 무찌르고 천하(天下)의 인심을 안정시키는 데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몸소 상복을 입고 진(秦)나라에 시달린 백성(百姓)을 조상하고 위로(慰勞)하여야 합니다. 그런데도 금은보화와 여색에 눈이 어두워 진(秦)나라 왕의 음락(淫樂)을 본받으려 하니, 포악한 군주의 표본인 하(夏)나라의 걸왕(桀王)과 다를 바가 없습니다. 본시 충언(忠言)은 귀에 거슬리나 자신을 위하는 것이며, 양약은 입에 쓰나 병에는 효력(效力)이 있습니다.[忠言逆於耳而利於行] 부디 번쾌의 충언(忠言)에 따르도록 하소서."
이 말에 유방은 크게 뉘우치고 왕궁을 떠나 패상(覇上)에 진을 치고는 바로 뒤따라 진격(進擊)한 항우와 유명한 '홍문(鴻門)의 회(會)'를 갖게 되었다고 한다.
《공자가어(孔子家語)》의 육본편(六本篇)에는 이런 말이 나온다. “좋은 약은 입에 쓰지만 병에 이롭고, 충언은 귀에 거슬리지만 행실에 이롭다. 은나라 탕왕은 간언하는 충성스런 신하가 있었기 때문에 번창하였고, 하나라 걸왕과 은나라의 주왕은 아첨하는 신하들만 있었기 때문에 멸망했다. 임금이 잘못하면 신하가, 아버지가 잘못하면 아들이, 형이 잘못하면 동생이, 자신이 잘못하면 친구가 간언해야 한다. 그렇게 하면 나라가 위태롭거나 멸망하는 일이 없으며, 집안에 덕을 거스르는 악행이 없으며, 친구간의 사귐도 끊임이 없을 것이다.” 좋은 충고는 귀에 거슬리지만 행함에 있어 이롭다는 뜻으로 쓰인다.
출전
사기(史記) 유후세가(留侯世家) |
Labels:
4자성어,
Advice,
Chinese Proverb,
Chinese Proverbs,
사자성어,
ㅇ,
양,
中國俗談,
良
Advice, Chinese Proverb
種豆得豆。
- 中國俗談
种豆得豆 [zhòngdòudédòu]
Reap the fruits of one's actions.
- Chinese Proverb
Plant sow beans and get beans.
콩을 심어 콩을 얻는다 [種豆得豆(종두득두)]
- 중국속담(中國俗談)
콩을 심어 콩을 얻는다는 뜻으로, 원인(原因)에 따라 결과(結果)가 생긴다는 말
관련 한자어
동의어·유의어
果報(과보) | 因果報應(인과보응) | 因果應報(인과응보) | 自業自得(자업자득) | 種瓜得瓜(종과득과) |
참조어
种瓜得瓜 种豆得豆 [zhòngguādéguā zhòngdòudédòu] Plant melons and get melons, sow beans and get beans. |
Advice, Chinese Proverb
種瓜得瓜。
- 中國俗談
种瓜得瓜 [zhòngguādéguā]
Reap as one has sown.
- Chinese Proverb
오이를 심으면 오이가 난다 [종과득과(種瓜得瓜)]
- 중국속담
種 씨 종 | 瓜 오이 과 | 得 얻을 득 | 瓜 오이 과 |
원인(原因)이 있으면 반드시 그 원인(原因)에 따른 결과(結果)가 있음을 이르는 말
Abundance, Chinese Proverb
Work, Chinese Proverb
空行空返。
- 中國俗談
No song, no supper.
- Chinese Proverb
(일)나간 사람 밥은 있어도 빈둥대는 놈 몫은 없다. [空行空返(공행공반)]
- 중국속담
새해에는 ...
必作於細 (道德經)
천하의 큰일은 반드시 조그만 것에서 시작한다
天下難事 必作於易 어려운 일은 쉬운 것에서 시작되고,
天下大事 必作於細 천하의 큰일은 반드시 미세한 것에서 터진다.
和光同塵 (道德經)
당신의 그 잘난 빛(光)을 누그러 뜨리고 (和), 이세상의 세속(塵)과 함께하라.
훌륭한 지도자가 되기 위해서는 우뚝서서 잘났다고 하는 것보다는 자신의 빛을 누그러뜨리고 세상의 사람들과 눈높이를 같이 하는 것입니다.
받은 글입니다.
천하의 큰일은 반드시 조그만 것에서 시작한다
天下難事 必作於易 어려운 일은 쉬운 것에서 시작되고,
天下大事 必作於細 천하의 큰일은 반드시 미세한 것에서 터진다.
和光同塵 (道德經)
당신의 그 잘난 빛(光)을 누그러 뜨리고 (和), 이세상의 세속(塵)과 함께하라.
훌륭한 지도자가 되기 위해서는 우뚝서서 잘났다고 하는 것보다는 자신의 빛을 누그러뜨리고 세상의 사람들과 눈높이를 같이 하는 것입니다.
받은 글입니다.
Subscribe to:
Posts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