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한글.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한글. Show all posts

아~! 세종대왕님

아~! 세종대왕님

중국인이 컴퓨터 자판을 치는 모습을 본다. 3만개가 넘는다는 한자를 어떻게 좁은 자판에서 칠까? 한자를 자판에 나열하는게 불가능해 중국어 발음을 먼저 영어로 묘사(한어병음)해 알파벳으로 입력한다음에 단어 마다 입력 키를 눌러야 화면에서 한자로 바뀐다.

불편한 건 더 있다. 같은 병음을 가진 글자가 20개 정도는 보통이다. 그 중에서 맞는 한자를 선택해야 한다.

한국의 인터넷 문화가 중국을 앞선 이유 하나가 여기에 있다.

타이핑을 많이 하는 전문직 중국인들은 한자의 획과 부수를 나열한 또 다른 자판을 이용한다. 자판을 최대 다섯번 눌러 글자 하나가 구성되므로 오필자형(五筆字型)이라고 한다. 속도가 빠르지만 익히기 어려워 일반인은 못한다.

일본인은 어떨까. 컴퓨터 자판을 보니 역시 알파벳이다. 일본인들은 '世'를 영어식 발음인 'se'로 컴퓨터에 입력하는 방법을 쓴다. 각 단어가 영어 발음 표기에 맞게 입력돼야 화면에서 가나로 바뀐다. 게다가 문장마다 한자가 있어 쉼없이 한자 변환을 해줘야 하므로 속도가 더디다.

나아가 '추'로 발음되는 한자만 해도 '中'을 비롯해 20개 이상이니 골라줘야 한다. 일본어는 102개의 가나를 자판에 올려 가나로 입력하는 방법도 있지만 익숙해지기 어려워 이용도가 낮다.

이러니 인터넷 친화도가 한국보다 낮을 수 밖에 없는 것 같다 .

말레이시아처럼 언어가 여러 가지인 국가들은 컴퓨터 입력방식 개발부터 골칫덩어리다.


24개의 자음• 모음만으로 자판 내에서 모든 문자 입력을 단번에 해결할 수 있는 한글은 하늘의 축복이자 과학이다.

휴대전화로 문자를 보낼 때 한글로 5초면 되는 문장을 중국, 일본문자는 35초 걸린다는 비교가 있다.

한글의 입력 속도가 일곱배 정도 빠르다는 얘기다.

정보통신(IT)시대에 큰 경쟁력이다.

한국인의 부지런하고 급한 성격과 승부근성에, 한글이 '디지털 문자'로서 세계 정상의 경쟁력이 있는 덕에 우리가 인터넷 강국이 됐다고 해석할 수 있다.

한글로 된 인터넷 문자 정보의 양은 세계 몇 번째는 된다.

9일은 세종대왕이 한글을 반포한 한글날.

세종이 수백년 뒤를 내다본 정보통신대왕이 아니었나 하는 감탄이 나온다.

26개인 알파벳은 한글과 같은 소리문자이고 조합도 쉽지만 'a'라도 위치에 따라 발음이 다르고 나라별로 독음이 다른 단점이 있다.

그러나 한글은 하나의 글자가 하나의 소리만 갖는다. 어휘 조합능력도 가장 다양하다. 소리 표현만도 8800여개여서 중국어의 400여개,일본어의 300여개와 비교가 안 된다.

세계적 언어학자들은 한글이 가장 배우기 쉽고 과학적이어서 세계 문자 중 으뜸이라고 말한다. '알파벳의 꿈'이라고 표현한다.

그래서 거의 0%인 세계 최저의 문맹률이 가능했고 이게 국가 발전의 원동력이었다. 한글은 발음기관의 모양까지 반영한 음성 공학적 문자여서 세계의 언어를 다 표현해낸다.

맥도널드를 중국은 '마이딩로우', 일본은 '마쿠도나르도'라고 밖에 표현하지 못한다. 이것이 네팔 등의 문자가 없는 민족에게 한글로 문자를 만들어 주는 운동이 추진되는 이유다.

외국인에게 5분만 설명하면 자신의 이름을 한글로 쓰게 할 수 있다.

한글은 기계적 친화력도 가장 좋아 정보통신 시대의 준비된 문자다. 세계화의 잠재력이 적지 않다.

아~~! 세종 IT 대왕님 !!!


받은 글입니다.

자국의 소수민족인 조선족 언어라며 한글마저 자국 언어로 편입하려는 중국의 한글 공정.

그렇지만 한글 협회는 계파에 따라 나뉘고, 연구기관과 산업현장은 자사에 유리한 방향으로 이끌려고 표준화를 미루는 모습이 안타깝습니다.

우리말과 우리글 우리가 사랑하자

우리말과 우리글 우리가 사랑하자

혀가 입천장에 차지게 붙었다가 떨어지는 짜장면보다는 입을 얌전하게 옆으로 늘리며 자장면이라고 발음해야 했다. 먹을거리냐 먹거리냐 논란 속에서도 먹거리라 쓰면 핀잔을 들었다. 그러나 이제 그럴 필요가 없어졌다. 국립국어원은 국민 실생활에서 많이 사용되지만 표준어 대접을 받지 못한 '짜장면'과 '먹거리'를 비롯한 39개 단어를 표준어로 인정하고 이를 인터넷 '표준국어대사전'에 반영했다. 하긴 일상에서 워낙 많이 쓰는 말들이어서 새롭게 표준어가 되었다는 것에 놀라는 이들도 많다.

이처럼 표준어로 일상의 단어가 추가되는 것을 보면서 광화문 한복판에 계신 세종대왕님처럼 우리글과 말도 보다 일상으로 파고든 느낌이다. 그러나 그것보다는 여전히 거북한 말들이 난무하는 것을 겪고 들으면서 이건 아니지, 싶기도 하다.
이럴 때 방송이 바른 말 쓰기에 앞장선다면 좋으련만 요즘 방송이 먼저 유행을 따라가는 것 같아 안타깝다.

- 최선옥 시인


사색의향기님(culppy@culppy.org)께서 보내주신 글입니다.

내일이면 한글날. 그 의미에 대해 한 번 생각해 보는 하루가 되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