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지에게 온정을 베푼 박문수 01

거지에게 온정을 베푼 박문수

암행어사 박문수가 거지꼴로 여기저기 돌아다니던 때였다. 하루는 날이 저물어서 주막에 들었는데, 봉놋방에 턱 들어가 보니 웬 거지가 큰 대자로 퍼지르고 누워 있었다.

사람이 들어와도 본 체 만 체, 밥상이 들어와도 그대로 누워 있었다.

“거, 댁은 저녁 밥을 드셨수?”
“아, 돈이 있어야 밥을 사 먹지.”

그래서 밥을 한 상 더 시켜다 먹으라고 줬다.


그 이튿날 아침에도 밥을 한 상 더 시켜다주니까 거지가 먹고 나서 말을 꺼냈다.

“보아하니 댁도거지고 나도거진데, 이럴 게 아니라 같이 다니면서 빌어먹는 게 어떻소?”

박문수도 영락없는 거지꼴이니 그런 말 할만도 하다. 그래서 그 날부터 둘이 같이 다녔다.

01. 세 사람 살려주고 사례로 받은 백 냥

제법 큰 동네로 들어서니 마침 소나기가 막 쏟아졌다. 그러자 거지는 박문수를 데리고 그 동네에서 제일 큰 기왓집으로 썩 들어갔다.

그러더니 다짜고짜 한다는 말이 “지금 이 댁 식구 세 사람 목숨이 위태롭게 됐으니 잔말 말고 나 시키는 대로만 하시오. 지금 당장 마당에 멍석 깔고 머리 풀고 곡을 하시오.”

안 그러면 세 사람이 죽는다고 하니 시키는 대로 했다.

그 때 이 집 남편은 머슴 둘을 데리고 뒷산에 나무 베러 가 있었다. 어머니가 나이 아흔이라 미리 관목이나 장만해 놓으려고 간 것이다. 나무를 베는데 갑자기 소나기가 오자 비를 피한다고 큰 바위 밑에 들어갔다.

그 때 저 아래서‘아이고 아이고’곡소리가 들려왔다.

“이크, 우리 어머니가 돌아가셨나 보다. 얘들아, 어서 내려가자.”

머슴 둘을 데리고 부리나케 내려오는데 뒤에서 바위가 쿵 하고 무너져 내렸다.

간발의 차이로 위험을 모면하고 내려온 남편은 전후 사정을 듣고 거지한데 절을 열두 번도 더 했다.

“우리 세 사람 목숨을 살려 주셨으니 무엇으로 보답하면 좋겠소? 내 재산을 다 달란대도 내놓으리다.”

“아, 정 그러면 돈 백 냥만 주구려.”

그래서 돈 백 냥을 받았다. 받아서는 대뜸 박문수를 주는 게 아닌가.

“이거 잘 간수해 두오. 앞으로 쓸데가 있을 테니.”

박문수가 가만히 보니 이 거지가 예사 사람이 아니었다. 시키는 대로 돈 백 냥을 받아서 속주머니에 잘 넣어 두었다.


받은 글입니다.

View of Grand Canyon

View of Grand Canyon


DescriptionEnglish: View of the canyon from Rim Trail near Maricopa Point, Grand Canyon, Arizona, USA
그랜드캐년
Date14 September 2012
Sourcehttp://commons.wikimedia.org/
AuthorHermann Luyken
Camera location36° 03′ 29.75″ N, 112° 08′ 50.6″ W
PermissionPublic Domain / CC0 1.0
LicensingThe copyright holder of this work has released this work into the public domain.

This file is made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CC0 1.0 Universal Public Domain Dedication.

The person who associated a work with this deed has dedicated the work to the public domain by waiving all of his or her rights to the work worldwide under copyright law, including all related and neighboring rights, to the extent allowed by law. You can copy, modify, distribute and perform the work, even for commercial purposes, all without asking permission.


From Wikimedia Commons http://commons.wikimedia.org/

오늘이 내 최고의 날이다

오늘이 내 최고의 날이다

"그때 그 일을 하지 않았더라면……"

"그때 내가 그 결정을 했더라면……"

지금의 내가 달라져 있을 거라고 우리는 가끔씩 말한다. 과거 속으로 돌아가 마치 지우개로 지우듯 과거의 일들을 삭제하고 지우고 수정한다. 그러나 과거로 돌아간다고 해서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다.

지금 내가 살아가고 있는 2012년도 훗날 다시 돌아가고 싶은 그 때가 될 거라는 것을 생각했다. 오늘은 내 삶의 절정이고 최고의 날이라고 생각하며 사는 것이 행복을 이루는 가장 쉬운 방법이 아닐까? 과거를 후회하기보다는 현실의 삶에서 최선을 선택하는 것이 오히려 현명하다.

오늘이 바로 최고의 날이고 오늘 내가 만나는 사람이 나에게 최고의 벗이다.


받은 글입니다.

‘아는 것이 힘이다’라는 말은 틀렸다.

‘아는 것이 힘이다’라는 말은 틀렸다.

철학자 프랜시스 베이컨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아는 것이 힘이다.” 옳은 말이다.
그러나 이 문장을 완벽하게 만들려면 단어 하나를 더 넣어야 한다.
“아는 것을 실천해야 힘이다.”

- 김쌍수 한전사장, '5%는 불가능해도 30%는 가능하다'에서


알고 있지만 실천하지 않는 사람들을 자주 보게 됩니다. 모두 다 성공하지 못하는 사람들입니다. 생각만으로 이뤄지는 일은 없기 때문입니다. 성공한 사람들은 ‘아이디어는 단순해도 용기, 배짱, 자기 확신하에,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실천하는 사람들’입니다.

‘아는 것’이 아닌, ‘하는 것’이 힘이 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Flag of Argentina (아르헨티나)

Flag of Argentina (아르헨티나)


DescriptionFlag of Argentina
아르헨티나
Date.
SourceWikimedia Commons
AuthorGovernment of Argentina (Vector graphics by Dbenbenn)
Capital and largest cityBuenos Aires (부에노스아이레스)
34°36′S 58°23′W
ISO 3166 codeAR
ISO 3166 Alpha-3 codeARG
ISO 3166 Numeric code032
PermissionPublic Domain
LicensingThis file is ineligible for copyright and therefore in the public domain because it consists entirely of information that is common property and contains no original authorship.


From Wikimedia Commons http://commons.wikimedia.org/

http://en.wikipedia.org/wiki/ISO_3166-1


잠자는 方法과 일어나는 方法

** 잠자는 方法과 일어나는 方法 **

마음이 먼저 잠들어야 육체도 잠든다

1.근육을 느슨하게 해준다.

잠을 잘땐, 똑바로 눕는 것보다 오른쪽으로 모로 눕되 두다리를 굽혀 근육을 느슨하게 해주는 것이 좋다. 이 자세로 자게 되면 취침 중에도 소화가 잘 되고, 심장의 압박을 주지 않아 혈액순환이 잘 된다

2.잠자기 전에 절대로 화내지 말라

수면상태가 되는 과정은 체온과 혈압이 조금씩 떨어지는 과정이라고 볼 수가 있다. 하지만 화를 내거나 근심을 하게되면 체온도 올라가고, 혈압도 높아진다. 결국 화는 잠을 못들게하는 적이다

3.잠자리에 누워 근심하지 말라

근심을 하게되면 정신이 더욱 깨어나 잠들기 어렵다. 또한 동양의학에서는 근심이 쌓여 "화병"이 된다고 한다

4.잠자리에서 말하는 것을 피하라

잠자리에 누워 책을 읽거나 tv를 본다거나 말하는 등, 다른 일을 하게 되면 "잠자리=수면"의 등식이 깨진다. 잠자리에 누웠을 때는 잠을 자는 것이라는 규칙을 몸 안에 알려주어야 한다.

5.잠자기 전에는 음식을 먹지 말라

음식을 먹으면 위는 소화활동을 시작하고 장으로 옮겨 흡수한다. 때문에 잠 자기전 음식을 먹으면 위를 움직이는 자율신경계는 쉬지 않고 움직이게 된다. 한마디로 피곤을 풀지 못하는 것이다.

6.머리는 항상 시원하게 하라

머리는 陽의 기운이 모여 있는 곳이므로 시원하게 해주어야 좋다. 머리를 시원하게 해주면 정신이 맑아지고 두통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7.입을 벌리고 자지 말아야 한다

자는 동안에는 침의 분비가 적어진다. 이때 입을 벌리고 자게 되면 입 안이 마르고, 심장부근에 수분이 부족하게 된다. 입을 벌리고 자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코에 문제가 있다.

8.얼굴을 덮지 말아야 한다

잠잘 때 이불을 머리끝까지 덮게 되면 산소가 부족해져 여러 문제를 야기한다.

9.이불은 꼭 덮어야 한다.

잠자리에서는 자신의 체온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람의 체온은 수면 상태에 빠지면 떨어지므로 체온 보호를 위해 이불은 꼭 덮는다

10.베개의 높이는 6~9cm가 바람직하다.

이불의 무게는4~5kg이 적당하나, 부드럽고 보온성이 좋은 2~2.5kg정도의 이불이면 더욱 좋다


아침에 기분좋게 일어나는 방법

1. 잠들기 잠자리에서 손바닥을 마주 하여 싹싹 20회 비벼댄다.

2. 다음은 왼 손의 손가락들을 길게 모아쥐고 오른손으로 감싸쥐어 비틀면서 마찰을 10회하여준다. 다한 후 손을 바꾸어서 다시 10회 한다.

3. 다음은 손가락을 폈다가 오므렸다를 20회 한다.

4. 마지막으로 숨을 깊이 들이쉬어 복식호흡을 20회한다.


이렇게 하여 잠을 잔 후 일어날 때는

1. 우선 잠에서 깨어나면 팔을 머리위로 쭉 뻗으면서 기지개를 길게 한다.

2. 그리고 손바닥 빠르게 비벼 열감을 느끼면 양손바닥으로 얼굴을 세수하듯이 마찰하며 기분좋은 느낌을 느낀다.

3. 이제 이불을 박차고 일어 나서, 손가락 모아 비틀기를 하며 기분이 아주 좋다고 느끼도록 하고 유쾌한 하루의 일정을 시작한다.

"나는 꼴찌였다", 어느 교수의 가슴뭉클한 이야기

"나는 꼴찌였다", 어느 교수의 가슴뭉클한 이야기

어느 대학 교수의 가슴 뭉클한 고백도 트위터리언 사이에 화제가 됐습니다. 이 교수는 중학교 1학년 때 전교에서 꼴찌를 했는데 성적표를 1등으로 위조해 아버님께 갖다 드렸습니다. 학생의 아버지는 아들이 전교 1등을 했다는 소식에 재산목록 1호인 돼지를 잡아 마을 사람들을 대접했다고 합니다. 이후 그 학생은 너무 죄스러운 마음에 이를 악물고 공부를 해 17년 후 대학 교수가 됐고 유명한 대학의 총장까지 하게 됩니다.


전교 68명중 68등이었다.
지금도 비교적 가난한 곳이다.
그러나 아버지는 가정형편도 안되고
머리도 안되는 나를 대구로 유학을 보냈다.
대구중학을 다녔는데 공부가 하기 싫었다.
1학년 8반, 석차는 68/68, 꼴찌를 했다.
부끄러운 성적표를 가지고 고향에 가는 어린 마음에도 그 성적을 내밀 자신이 없었다.
당신이 교육을 받지 못한 한을 자식을 통해 풀고자 했는데, 꼴찌라니...
끼니를 제대로 잇지 못하는 소작농을 하면서도 아들을 중학교에 보낼 생각을 한 아버지를 떠올리면 그냥 있을 수가 없었다.

그래서 잉크로 기록된 성적표를 1/68로 고쳐 아버지께 보여드렸다.
아버지는 보통학교도 다니지 않았으므로 내가 1등으로 고친 성적표를 알아차리지 못할 것으로 생각했다.
대구로 유학한 아들이 집으로 왔으니 친지들이 몰려와 "찬석이는 공부를 잘 했더냐"고 물었다.
아버지는, "앞으로 봐야제.. 이번에는 어쩌다 1등을 했는가 배.."했다.
"명순(아버지)이는 자식 하나는 잘 뒀어. 1등을 했으면 책거리를 해야제" 했다.
당시 우리집은 동네에서 가장 가난한 살림이었다.
이튿날 강에서 멱을 감고 돌아오니, 아버지는 한 마리뿐인 돼지를 잡아 동네 사람들을 모아 놓고 잔치를 하고 있었다.
그 돼지는 우리집 재산목록 1호였다.
기가 막힌 일이 벌어진 것이다.
"아부지..." 하고 불렀지만 다음 말을 할 수가 없었다.
그리고 달려 나갔다.
그 뒤로 나를 부르는 소리가 들렸다.
겁이 난 나는 강으로 가 죽어버리고 싶은 마음에 물속에서 숨을 안 쉬고 버티기도 했고, 주먹으로 내 머리를 내리치기도 했다.

충격적인 그 사건 이후 나는 달라졌다.
항상 그 일이 머리에 맴돌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로부터 17년 후 나는 대학교수가 되었다.
그리고 나의 아들이 중학교에 입학했을 때, 그러니까 내 나이 45세가 되던 어느 날, 부모님 앞에 33년 전의 일을 사과하기 위해
"어무이.., 저 중학교 1학년 때 1등은 요..." 하고 말을 시작하려고 하는데..
옆에서 담배를 피우시던 아버지께서 "알고 있었다. 그만 해라. 민우(손자)가 듣는다."고 하셨다.
자식의 위조한 성적을 알고도, 재산목록 1호인 돼지를 잡아 잔치를 하신 부모님 마음을,
박사이고 교수이고 대학 총장인 나는,
아직도 감히 알 수가 없다.

- 전 경북대 총장 박찬석 -


옮긴 글입니다.

http://kjart007.tistory.com/m/post/view/id/1352

[유머] 엄마 닮은 처녀

엄마 닮은 처녀

데리고 가는 여자마다 어머니가 퇴짜를 놓는 바람에 마흔이 다 되도록 장가를 못 간 만복이....

궁리끝에 어머니를 닮은 처녀를 구해 달라고 중매쟁이에게 부탁 했다.

중매쟁이는 천신 만고끝에 만복이 어머니와 생긴 모습, 말하는것, 옷 입는것, 심지어 음식 솜씨까지 쏙 닮은 처녀를 찿아 만복이에게 선을 보였다.

며칠후....
"이번에는 어머님께서도 만족 하셨지요?"
"네 아주 흡족해 하셨습니다만....."
"왜요? 또 다른 문제라도?....."
"이번엔 아버지께서 네 엄마 하나도 지겨운데 엄마 닮은 그 처녀와 결혼을 하면 아들과 인연을 끊겠다고 완강히 반대 하십니다"

[유머] 통닭

통닭

한 여자가 푸줏간에 들어와서 닭들을 보여달라고 했다. 마침 남아 있는 닭은 고작 한 마리뿐이었지만, 주인은 그 사실을 말하지 않았다. 닭은 진열장 밑 통에 보관하고 있었으므로 주인은 그 속에서 마지막 남은 닭 한 마리를 꺼냈다.

그것을 본 여자가 약간 실망한 표정을 지으며 물었다.
"좀더 큰 건 없나요?"

"있죠."
주인은 그렇게 대답하고 나서 그 닭을 도로 통 속에 넣고는 그속에서 이리저리 흔들다가 다시 꺼내서 보여주었다. 그러자 손님은 이렇게 말하는 것이었다.

"두 마리 다 주세요."

일생에 한 번은 봐야 할 세계의 夕陽과 夜景

일생에 한 번은 봐야 할 세계의 夕陽과 夜景

이탈리아 로마 에스파냐 광장

싱가폴

이집트 피라미드

스위스 마터호른 산

이탈리아 돌로미테 산 석양

인도 암리차르의 황금사원

이집트 룩소 카르낙 신전

중국 서안 종루

인도 타지마할

캐나다 버밀리언 호수의 석양


받은 사진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