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 남과 여

연애를 하던 남자와 여자.

만난지 한 달이 되어가던 어느날 밤, 여자네 집 대문이다.

며칠 전부터 눈치만 보던 남자가 작심하고 오늘이야 말로 여자에게 키스를 해보겠다고 수작을 건다.

(손으로 '파악' 대문 옆 벽을 치며 여자를 자기 앞으로 몰아 붙이고.)

" 오늘은 키스해주기 전엔 못 들어가.."


" 안돼, 집에 아빠 엄마 다 계신단 말야..

" 아무도 안보는데 어때..? "

" 그래두우... "

" 한 번 만 하자."

" 아이, 안된단 말야."

남자와 여자는 30 분이 다 되도록 실랑이를 벌이고 있다.

그때 갑자기 대문이 '덜컹' 열리더니 여자의 동생이 나오면서,

" 언니! 아빠가 그냥 한 번 해주고 빨리 보내래! "

다시 남자를 째려보며,

" 그리고, 아저씨!
.
.
.


"우리 집 인터폰에서 손 좀 떼 주실래요 !!! "

체했을 때 손 따지 말고 ‘이것’ 한 컵 마셔요!

체했을 때 손 따지 말고 ‘이것’ 한 컵 마셔요!

무에는 아삭한 맛뿐만이 아니라 당류와 아미노산, 무기질, 아밀라아제 등이 들어 있고 비타민 C는 사과의 7배나 많이 들어 있다... 또한 무청에는 무보다 무기질이 2배, 칼슘은 4배, 단백질은 1.5배 더 많으며, 무와 무청에는 식이성 섬유가 많이 함유되어 있어 장내 환경을 좋게 한다.

본초강목에 의하면 무 생즙은 소화를 촉진시키고 독을 푸는 효과가 있으며 오장을 이롭게'하고 몸을 가볍게 하면서 살결이 고와진다고 설명했다. 또 무즙은 담을 제거하고 기침을 그치게 하는가 하면 각혈을 다스리고 속을 따뜻하게 하며 빈혈을 보한다고 적혀있다. 생즙을 마시면 설사를 다스린다는 기록도 찾아볼 수 있다.

- 생 무를 깎아 먹게 되면 갈증을 풀어주고 음식이 잘 소화된다.

- 무즙을 먹게 되면 코피를 흘리거나 피를 토할 때 지혈작용이 있다.

- 고기나 생선회를 먹을 때 함께 먹게 되면 단백질 분해효소가 들어 있어 소화력이 좋아진다.

- 밀가루 음식 등 전분 식품을 먹을 때 곁들이면 무속의 아밀라아제가 소화력을 높여준다.

체했을 때 무즙 한 컵!

체했을 때 무를 믹서에 갈아 무즙을 한 컵 마시도록 한다. 무 속에 들어있는 아밀라아제와 단백질 분해 효소가 소화력을 높여준다.

기침, 인후통이 있을 때 무를 삶아서 그 물을 마시면 효과적이고 특히 담배를 많이 피우는 사람들은 무를 자주 먹어야 하는데 이는 무가 니코틴을 중화해 몸 밖으로 배출시키는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독감이나 감기에 걸렸을 때

감기, 기침, 목 아플 때 무를 삶아 꿀을 넣어 먹게 되면 무의 거담작용으로 인해 기침, 가래가 있을 때 효과가 있다.

관절염이 있을 때

무를 믹서에 갈아 즙을 낸 후 깨끗한 가제 수건을 준비해 무즙을 묻힌 다음 무릎 등의 아프고 결리는 부분에 발라주면 해열, 진정작용이 있어 통증이 사라진다.







끌림

끌림

내가 뒤척이지 않으면, 나를 뒤집어 놓지 않으면 사람의 다른 국면은 나에게 찾아와주지 않는다. 어쩌면 중요한 것들 모두는.. 뒤에 있는지도 모른다.

- ‘끌림’ 중에서 -

A day of fishing

A day of fishing


DescriptionEnglish: A day of fishing aground in Chacachacare
Date22 April 2014
Sourcehttp://commons.wikimedia.org/
AuthorThe Photographer
Camera location10° 55′ 28.08″ N, 64° 07′ 02.3″ W
PermissionPublic Domain / CC-Zero
LicensingThis work has been released into the public domain by its author.

This file is made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CC0 1.0 Universal Public Domain Dedication.

The person who associated a work with this deed has dedicated the work to the public domain by waiving all of his or her rights to the work worldwide under copyright law, including all related and neighboring rights, to the extent allowed by law. You can copy, modify, distribute and perform the work, even for commercial purposes, all without asking permission.


From Wikimedia Commons http://commons.wikimedia.org/

CC-Zero | Quality images by The Photographer |

House in Laguana Beach

House in Laguana Beach



DescriptionHouse at near Laguana Beach
Date11 April 2009
SourceWikimedia Commons
AuthorAlex Proimos from Sydney, Australia
Camera location.
PermissionCC-BY-2.0
LicensingThe copyright holder of this work has published it under the following licenses:


This file is licen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 Alike 2.0 Generic license.

You are free:
to share – to copy, distribute and transmit the work
to remix – to adapt the work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attribution – You must attribute the work in the manner specified by the author or licensor (but not in any way that suggests that they endorse you or your use of the work).


From Wikimedia Commons http://commons.wikimedia.org/


Shops at Laguana Beach

Shops at Laguana Beach



DescriptionShops at Laguana Beach
Date11 April 2009
SourceWikimedia Commons
AuthorAlex Proimos from Sydney, Australia
Camera location.
PermissionCC-BY-2.0
LicensingThe copyright holder of this work has published it under the following licenses:


This file is licen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 Alike 2.0 Generic license.

You are free:
to share – to copy, distribute and transmit the work
to remix – to adapt the work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attribution – You must attribute the work in the manner specified by the author or licensor (but not in any way that suggests that they endorse you or your use of the work).


From Wikimedia Commons http://commons.wikimedia.org/


Venus of Rhodes

Venus of Rhodes


DescriptionEnglish: Small statue of Aphrodite bathing, known as the Rhodes Venus. A later remodelling of a statue type of the 3rd century BCE, whose creation was attributed to the sculptor Doidalses. The Rhodian work is an eloquent example of the decorative disposition in 1st century BCE aesthetics. Little sculptures such as this adorned the interiors of wealthy residences, as well as Nymphaia, private and public gardens. access number 4685.
Français : Petite statue d' Aphrodite au bain, connue comme la Vénus de Rhodes. Il s'agit d'une réinterprétation d'un type de statue du 3ème siècle avant l'ère courante, dont la création est attribuée au sculpteur Doidalsas. Le travail rhodien est un exemple éloquent de l'esthétique décorative du 1er siècle avant notre ère. Les petites sculptures comme celle-ci décoraient les intérieurs des maisons riches, ainsi que les Nymphaia, jardins privés et publics. n°4685.
Archaeological Museum of Rhodes (고고학 박물관)
Date1st century BCE. 14 avril 2011 for photograph.
Sourcehttp://commons.wikimedia.org/
AuthorJebulon
Camera location36° 26′ 41.3″ N, 28° 13′ 36.5″ E
PermissionPublic Domain / CC-Zero
LicensingThis work has been released into the public domain by its author.

This file is made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CC0 1.0 Universal Public Domain Dedication.

The person who associated a work with this deed has dedicated the work to the public domain by waiving all of his or her rights to the work worldwide under copyright law, including all related and neighboring rights, to the extent allowed by law. You can copy, modify, distribute and perform the work, even for commercial purposes, all without asking permission.


From Wikimedia Commons http://commons.wikimedia.org/

어떻게 하면 잡초를 모두 없앨 수 있느냐?

어떻게 하면 잡초를 모두 없앨 수 있느냐?

한 철학자가 오랫동안 가르쳐 온 제자들을 떠나보내며 마지막 수업을 하기로 했다.

그는 제자들을 데리고 들판으로 나가 빙 둘러앉았다. 철학자는 제자들에게 물었다.

“우리가 앉아 있는 이 들판에 잡초가 가득하다. 어떻게 하면 잡초를 모두 없앨 수 있느냐?”

그들은 모두 건성으로 대답했다.

“삽으로 땅을 갈아 엎으면 됩니다.”
“불로 태워 버리면 좋을 것 같습니다.”
“뿌리째 뽑아 버리면 됩니다.”

철학자는 제자들의 대답에 고개를 끄덕이고는 자리에서 일어나 말했다.

“이것은 마지막 수업이다. 모두 집으로 돌아가서 자신이 말한 대로 마음속의 잡초를 없애 보거라. 만약 잡초를 없애지 못했다면, 일 년 뒤에 다시 이 자리에서 만나기로 하자.”

일 년 뒤, 제자들은 무성하게 자란 마음속 잡초 때문에 고민하다 다시 그곳으로 모였다.

그런데 예전에 잡초로 가득했던 들판은 곡식이 가득한 밭으로 바뀌어 있었다.

스승의 모습은 보이지 않았고 이런 글귀가 적힌 팻말 하나만 꽂혀 있었다.

“들판의 잡초를 없애는 방법은 딱 한 가지뿐이다. 바로 그 자리에 곡식을 심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마음속에 자라는 잡초는 선한 마음으로 어떤 일을 실천할 때 뽑아낼 수 있다."



[Humor] A deaf couple

A deaf couple

A deaf couple check into a motel. They retire early. In the middle of the night, the wife wakes her husband complaining of a headache and asks him to go to the car and get some aspirin from the glove compartment.

Groggy with sleep, he struggles to get up, puts on his robe, and goes out of the room to his car. He finds the aspirin, and with the bottle in hand he turns toward the motel.

But he cannot remember which room is his. After thinking a moment, he returns to the car, places his hand on the horn, holds it down, and waits. Very quickly the motel rooms light up, all but one.

It's his wife's room, of course. He locks up his car and heads toward the room without a light.

어떤 귀머거리 부부가 모텔로 들어갔다. 그들을 일찍 잠자리에 들었다. 한 밤중에 아내가 남편을 깨워 머리가 아프다고 호소하면서 그에게 자동차 글로브박스에 있는 아스피린을 좀 갖다 달라고 부탁했다.

잠으로 그로기 상태인 남편은 가까스로 일어나 가운을 입고 방밖으로 나가 자동차로 갔다. 그는 아스피린이 든 병을 찾아 손에 들고 모텔로 돌아섰다.

그러나 그는 어느방이 자기방인지 기억나지 않았다. 잠깐 생각하더니 그는 자동차로 되돌아가서 손으로 경적을 울리고 나서 기다렸다. 곧 모텔방들이 하나를 빼고는 전부 불을 켰다.

물론 불이 꺼진 방이 그의 아내가 있는 방이었다. 그는 자동차 문을 잠구고 불이 꺼진 방으로 향해 갔다.



숙제하듯 살지 말고 축제하듯 살자

★숙제하듯 살지 말고 축제하듯 살자

인생은 한 권의 책과 같습니다. 어리석은 이는 그것을 마구 넘겨 버리지만, 현명한 이는 열심히 읽습니다.

단 한 번 밖에 인생을 읽지 못한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인생이 무조건 즐거워야 하는 것은 우리에게 두 번째 인생이란 없기 때문입니다.

돈이 많든 적든, 명성이 높든 낮든 누구나 공평하게 단 한 번의 인생만 살 수 있기에 지나버린 시간은 물릴 수도 없고 되돌릴 수도 없습니다.

그러니 '왜 나는 부자가 아닐까?', '왜 나는 유명해 지지 못할까?' 라고 고민하기 보다 '왜 나는 지금 즐겁지 않은가?'에 대해 더 많이 고민해야 합니다.

하루하루를 즐겁게 사는 사람들을 보면 몇 가지 공통점이 있습니다.

이들은 반드시 돈이 많거나, 사회적으로 성공한 사람들이 아닙니다.

오히려 평범하고 소박하지만 자신의 삶을 소중하게 여기는 사람들이 삶에 대한 만족과 행복을 더 많이 느낍니다.

이들은 쉽게 자신의 삶과 다른 사람의 삶을 비교하지 않고,

먼 미래에 있을지도 모를 행복이 아니라 지금 이곳에서 행복하게 지내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잘 알고 삶을 즐기는 사람들입니다.

인생을 즐기는 사람들은 또한 지금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이 가장 소중한 일이며, 정성을 쏟은 만큼 반드시 자신에게
돌아온다는 믿음을 갖고 있습니다.

이 믿음 덕분에 마음의 평온과 즐거운 삶을 덤으로 얻을 수 있는 것입니다.

반면 자신의 삶에 만족하지 못하고 항상 자신보다 높은 곳만을 바라보는 사람은 흔들리는 바위에 앉은 것처럼 요동 치는 욕망과 불안 속에서 살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자기 인생의 주인으로 살자.
목적의식을 갖고 살자.
다른 사람들과 조화롭게 어울려 살자.
자연과 더불어 살자.
감사하면서 살자.
일과 놀이의 균형점을 찾자.
웃으며 살자.

이 즐거운 인생을 위한 일곱 가지 공식만 잘 실천하면서 살 수 있다면 우리 인생은 숙제가 아니라, 축제의 무대가 될 것입니다.

매일매일 축제처럼 살 것이냐 끙끙거리며 숙제하듯이 살아갈 것이냐는 바로 우리 마음 먹기에 달려 있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