不怨天不尤人 (불원천불우인)

不怨天不尤人(불원천불우인)
박재희

안녕하십니까? 박재희입니다.

자고 나면 터지는 숱한 사건 주변에는 서로에게 책임을 전가하고 잘못을 탓하는 공방전이 벌어진다.

아랫사람은 윗사람을 끌어내리려 하고, 윗사람은 아랫사람을 능멸하려 한다. 당사자는 상황에 책임을 돌리고, 방관자는 당사자에게 모든 책임을 지라고 한다. 모든 책임은 나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 남에게 있다는 책임 전가가 사회에 만연되어 있다. 아무도 책임지려 하지 않는 그런 사회를 살고 있는 것이다.

성숙한 사람은 남에게 책임을 묻지 않는다. 군자와 선비는 자신에게 책임을 묻는 사람이다.

불원천(不怨天)! 하늘을 원망하지 말라! 불우인(不尤人)! 남을 탓하지 마라! 선비들이 인생을 살다가 어렵고 힘든 상황에 처할 때 마다 외쳤던 인생의 화두였다. <중용(中庸)>에 나오는 ‘내 탓이오!’ 철학은 남 탓으로 자신의 잘못을 가리려 하는 오늘날 세태에 책임의식이 무엇인지를 잘 보여준다.

‘재상위불릉하(在上位不陵下)! 윗자리에 있는 사람들이여! 아랫사람을 함부로 능멸하지 마라!
재하위불원상(在下位 不援上)! 아랫자리에 있는 사람들이여! 함부로 윗사람을 끌어내리려 하지 마라!
정기이불구어인즉무원(正己而不求於人則無怨)! 나를 먼저 바르게 하고 남을 탓하지 말라! 그러면 누구에게도 원망을 사지 않을 것이다. 상불원천(上不怨天)! 위로는 하늘을 원망하지 말고, 하불우인(下不尤人)! 아래로는 남을 허물하지 말라!’

'중용'에 나오는 명 구절이다.

세상을 살다보면 힘들고 어려운 일이 닥치기 마련이다.

그럴 때 마다 조상을 탓하고, 하늘을 원망하고, 주변 사람을 허물하면 결국 그 역경과 고통은 더욱 나를 힘들게 할 뿐이다. 세상의 모든 잘못을 결국 나에게 있다는 생각은 아름답다.

남을 탓하거나 원망하는 것보다 자신을 먼저 돌아보는 것이 진정 책임질 줄 아는 사람의 모습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당당하게 자신의 책임을 인정하고 내 탓이라고 외칠 수 있는 사람은 존경을 받을 수밖에 없다. 공자는 활쏘기를 통해 군자의 책임의식을 비유하고 있다. 활을 쏘아 과녁에 맞히지 못했을 때 결국 모든 책임은 활 쏘는 사람에게 있다는 것이다.

사자유사호군자(射有似乎君子), 활을 쏘는 것은 군자의 모습과 유사하다!
실저정곡(失諸正鵠), 내가 활을 쏘아 과녁에 제대로 맞추지 못하면,
반구저기신(反求諸其身), 돌이켜 자신에게서 그 책임을 물어야 한다.

‘반구저신(反求諸身)’이라는 4자 성어가 나오는 중용의 구절이다.

서로에게 책임을 묻지 말고 스스로 책임지고 반성하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대목에서 이 구절을 사용하였다고 한다. 궁수가 활을 쏠 때 바람이 갑자기 불어 안 맞을 수도 있고, 활의 성능이 안 좋아 안 맞을 수도 있다.

옆에 사람이 성가시게 굴어서 문제가 될 수도 있고 과녁이 너무 멀어 적중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결국 활 쏘는 사수의 문제다. ‘내 탓이오!’ 라고 외치는 사수(射手)가 진정 군자의 모습과 닮아 있다는 것이다.

운명(運命)이란 글자 그대로 나에게 다가온 상황(命)을 내가 통제(運)하는 것이다.

남을 탓하거나 원망한다고 그 운명이 바뀌는 것은 아니다. 다가온 운명에 최선을 다하며 묵묵히 견뎌나갈 때 진정 운명은 내 손아귀에 놓이게 되는 것이다. 운명을 이해하고 내 탓으로 받아들일 때 진정 자득(自得)한 선비의 모습이 깃드는 것이다.

감사합니다. 박재희 였습니다.


From http://www.nethyangki.net/CDN/View.aspx?num=8584

받은 글입니다.

Flag of Andorra

Flag of Andorra



DescriptionFlag of Andorra
Date8 February 2008
SourceWikimedia Commons
AuthorHansenBCN
Capital and largest cityAndorra la Vella
42°30′N 1°31′E
ISO 3166 codeAD
PermissionPublic Domain
LicensingThis file is ineligible for copyright and therefore in the public domain because it consists entirely of information that is common property and contains no original authorship.


From Wikimedia Commons http://commons.wikimedia.org/

http://en.wikipedia.org/wiki/ISO_3166-1

Mule Deer (Odocoileus hemionus)

Mule Deer (Odocoileus hemionus)



DescriptionEnglish: Mule Deer (Odocoileus hemionus) foraging on a late winter morning at Okanagan Mountain Provincial Park, British Columbia, Canada.
노새사슴 (검은꼬리사슴)
Date9 February 2015
Sourcehttp://commons.wikimedia.org/
AuthorExtemporalist
Camera location.
PermissionPublic Domain / CC-Zero
LicensingThis work has been released into the public domain by its author.

This file is made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CC0 1.0 Universal Public Domain Dedication.

The person who associated a work with this deed has dedicated the work to the public domain by waiving all of his or her rights to the work worldwide under copyright law, including all related and neighboring rights, to the extent allowed by law. You can copy, modify, distribute and perform the work, even for commercial purposes, all without asking permission.
분류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류강, 소목, 사슴과
멸종위기등급관심필요
크기몸길이 125∼168㎝, 어깨높이 80∼106㎝, 몸무게 43∼150㎏
서식장소사막, 초원, 산림


From Wikimedia Commons http://commons.wikimedia.org/

내 자신에게 안부를 물어야 하는 이유

내 자신에게 안부를 물어야 하는 이유

사람은 항상 자신의 마음에 예절을 지키며 절을 하고 건강하게 잘 지내는지 안부를 물어야 한다. 자신의 마음은 곧 하늘이 물려준 것이고 자신의 몸은 부모가 불려준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자신의 마음에 안부를 묻는 것은 곧 하늘을 섬기는 것이요, 평생동안 효도하는 것이다.

- 사토 잇사이의 '불혹의 문장들' 중에서 -

일본에서 200년 동안 스테디셀러인 이 책(원제: 언지록)은 저자 '사토 잇사이'가 불혹 무렵부터 82세까지 기록한 문장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삶을 어느 정도 살아낸 사람만이 지닐 수 있는 통찰력으로 인생의 철학과 삶의 지혜가 가득 담긴 책입니다.

자신에게 부끄럽지 않은 삶을 사는 사람이라야 다른 사람에게도 따뜻한 배려와 봉사의 마음을 지닐 수 있습니다. 그는 무슨 일을 하든 사람을 상대로 하지 말고 하늘을 상대로 하라고 충고하기도 합니다. 하늘 우러러 부끄럼 한 점 없는 일이라면 그 일이 어떤 일이든 잘못될 리 없겠지요. 자신에게 안부를 묻는 일은 자신의 마음과 몸을 정갈하고도 건강하게 간수하는 일의 시작입니다.


사색의향기님(culppy@culppy.org)께서 보내주신 글입니다.

Artzaiak eta inudeak festival

Artzaiak eta inudeak festival


DescriptionEnglish: Artzaiak eta inudeak festival, Donostia, Basque Country.
Euskara: Artzaiak eta iñudeak Donostian, 2009.
Date8 February 2009
Sourcehttp://www.flickr.com/photos/dantzan/3331118166/in/set-72157614842885386/
http://commons.wikimedia.org/
Authordantzan
Camera location.
PermissionCC-BY-SA-2.0
LicensingThis file is licen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 Alike 2.0 Generic license.

You are free:
to share – to copy, distribute and transmit the work
to remix – to adapt the work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attribution – You must attribute the work in the manner specified by the author or licensor (but not in any way that suggests that they endorse you or your use of the work).
share alike – If you alter, transform, or build upon this work, you may distribute the resulting work only under the same or similar license to this one.


From Wikimedia Commons http://commons.wikimedia.org/

노랑제비꽃

노랑제비꽃


봄이 오면 찾아가는 제 고향 뒷산에
저만 알고 있는 노랑제비꽃 군락지가 있습니다.

꽃샘바람 매운 산기슭 묵은 낙엽 사이로
빼꼼히 얼굴을 내밀고 환하게 웃고 있는 노랑제비꽃.
그 귀여운 모습 보고 싶어 봄마다 찾아가지만
무작정 찾아간다고 아무 때나 만날 수는 없습니다.

어느 때는 너무 일러 꽃이 피지 않았고
어느 때는 너무 늦어 이미 지고 없습니다.
사람처럼 미리 약속하고 만날 수도 없는 꽃이라
어쩌다 못 만나고 돌아설 때면 허탈한 마음에
죄 없는 노랑제비꽃을 원망한 적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산을 내려오며 곰곰 생각해 보니
순전히 때를 맞추지 못한 나의 잘못이었다는 뉘우침과 함께
때를 맞춘다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지 새삼 깨닫게 되었습니다.

내일 모레는
그리운 사람들 모두 만나는 즐거운 설날입니다.
때를 놓치고 후회하는 일 없도록
그리운 사람 모두 만나 서로 정을 나누며
노랑제비꽃처럼 환하게 웃는 행복한 명절 보내세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글.사진 - 백승훈


사색의향기님(culppy@culppy.org)께서 보내주신 향기메일입니다

Great Pyramid of Giza

Great Pyramid of Giza

The Great Pyramid of Giza (also known as the Pyramid of Khufu or the Pyramid of Cheops) is the oldest and largest of the three pyramids in the Giza Necropolis bordering what is now El Giza, Egypt. It is the oldest of the Seven Wonders of the Ancient World, and the only one to remain largely intact.


DescriptionWonders of the World
Seven Wonders of the Ancient World - The Great Pyramid of Giza, the only wonder of the ancient world still in existence.
Date6 February 2010
SourceWikimedia Commons
AuthorWknight94
Camera location29° 58′ 35.8″ N, 31° 08′ 04.44″ E
Object location29° 58′ 44.68″ N, 31° 08′ 04.89″ E
PermissionCC-BY-3.0
LicensingThe copyright holder of this work has published it under the following licenses:


This file is licen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 Alike 3.0 Unported license.

You are free:
to share – to copy, distribute and transmit the work
to remix – to adapt the work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attribution – You must attribute the work in the manner specified by the author or licensor (but not in any way that suggests that they endorse you or your use of the work).
share alike – If you alter, transform, or build upon this work, you may distribute the resulting work only under the same or similar license to this one.


From Wikimedia Commons http://commons.wikimedia.org/
http://en.wikipedia.org/wiki/Great_Pyramid_of_Giza


벌은 꿀을 딸 때 꽃을 가리지 않는다

벌은 꿀을 딸 때 꽃을 가리지 않는다

벌이 꿀을 딸 때는 꽃을 가리지 않는다.

- 정민의 '죽비소리' 중에서 -

어떤 시가 좋으냐는 물음에 대한 이덕무의 답변입니다.

이덕무는 조선 후기 실학자이자 중국시단에까지 이름을 알린 시인이지요. 벌은 꿀을 모을 때 꽃을 가리는 법이 없지요. 아카시아 꽃이든 싸리꽃이든 꿀이 있는 꽃이면 가리지 않고 찾아가 꿀을 모읍니다.

시를 읽는 일이나 사람을 사귀는 일도 이와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툭하면 편을 가르고 출신을 따지며 색깔을 가리려고 합니다.

정작 중요한 것은 꽃이 아니라 꽃이 지니고 있는 꿀인데 말이지요.


사색의향기님(culppy@culppy.org)께서 보내주신 향기메일입니다.



El Porto, Manhattan Beach, California

El Porto, Manhattan Beach, California


DescriptionA sunset in El Porto, California. The strand starts in El Porto and goes down for miles until Torrance. Very pleasant in the evening.
El Porto: a beach community that is part of Manhattan Beach, a city in the South Bay area of Greater Los Angeles in Southern California.
Date5 February 2011
SourceEl Porto, California
Uploaded by russavia
Wikimedia Commons
AuthorPedro Szekely from Los Angeles, USA
Camera location33° 54′ 13.28″ N, 118° 25′ 24.47″ W
PermissionCC-BY-SA-2.0
LicensingThe copyright holder of this work has published it under the following licenses:


This file is licen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 Alike 2.0 Generic license.

You are free:
to share – to copy, distribute and transmit the work
to remix – to adapt the work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attribution – You must attribute the work in the manner specified by the author or licensor (but not in any way that suggests that they endorse you or your use of the work).
share alike – If you alter, transform, or build upon this work, you may distribute the resulting work only under the same or similar license to this one.


From Wikimedia Commons http://commons.wikimedia.org/

아내란 누구인가?

아내와 관련한 글이 있어 올려드립니다. 맘과 행동이 항상 다른 저를 반성하면서 아내에게 정말 잘해야 겠다는 생각으로 오늘을 열려고 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아내란 누구인가?]

■ 아내란
바가지를 긁으면서도 그 바가지로 밥을 해주는 사람..

■ 아내란
아이들을 혼내고 뒤돌아 아이들 보다 더 눈물을 흘리는 사람....

■ 아내란
자신의 엄마가 보고싶어도 자신이 엄마라는 이유로 엄마를 보지 못하는 사람......

■ 아내란
친정엔 남의 편이 되어 모든 물건 훔쳐 오는 남편 편인 사람.......

■ 아내란
아이들만 보고 웃다가 결국엔 떠나는 사람........

■ 아내란
사랑을 주면 줄수록 얼굴이 예뻐지는 사람.......

■ 아내란
살이 찌고 뚱뚱해도 엄마라는 이름으로 아름다운 사람........

■ 아내란
남편이 가는 길에 끝까지 남아주는 의리있는 친구인 사람......

■ 아내란
남은 밥을 먹으면서도 살이 찌는 유일한 사람.......

■ 아내란
드라마엔 홧병이 나도 아이들 잘못은 금세 잊어버리는 사람......

■ 아내란
당장 잃어버린 1000원에 안절부절해도 홈쇼핑에 지르고 내 눈치만 보는 사람..

■ 아내란
밥 한끼보다 "사랑해" 한마디로 더 행복을 느끼는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