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가 사흘만 볼 수 있다면 /-헬렌켈러- ♧

♧ 내가 사흘만 볼 수 있다면 /-헬렌켈러- ♧


만약 내가 이 세상을 사는 동안에
유일한 소원이 하나 있다면 그것은 죽기 전에
꼭 삼일 동안만 눈을 뜨고 보는 것이다

만약 내가 눈을 뜨고 볼 수 있다면
나는 나의 눈을 뜨는 첫 순간에
나를 이만큼 가르쳐주고 교육시켜준
나의 선생님 에미 살리반을 찾아가겠다
지금까지 그의 특징과 얼굴모습을
내 손끝으로 만져 알던
그의 인자한 얼굴 그리고 그의 아리따운 몸매를
몇 시간이고 물끄러미 보면서 그의 모습을
내 마음속에 깊숙이 간직해 두겠다

다음엔 내 친구들을 찾아 가고
다음엔 들로 산으로 산보를 나가겠다
바람에 나풀거리는 아름다운 나무 잎사귀들
들에 피어 있는 예쁜 꽃들과 그리고 저녁이 되면
석양이 빛나는 아름다운 노을을 보고 싶다
다음날 일어나 새벽에는 먼동이 트는 웅장한 장면
아침에는 메트로폴리탄에 있는 박물관
그리고 저녁에는 보석 같은 밤하늘의 별들을 보면서
또 하루를 보내고

마지막 날에는 일찍 큰길에 나가
출근하는 사람들의 얼굴 표정들
아침에는 오페라하우스,
오후에는 영화관에 가서 영화를 감상하고 싶다
그리고 어느덧 저녁이 되면 건물의 숲을
이루고 있는 도시 한복판으로 나가서
네온사인이 반짝거리는 쇼 윈도우에 진열되어있는
아름다운 물건들을 보면서 집으로 돌아와
내가 눈을 감아야 할 마지막 순간에
나를 이 삼일 동안만이라도 볼 수 있게 해주신
나의 하나님께 감사하다고 기도드리고
영원히 암흑의 세계로 돌아가겠다


이 글을쓴 헬랜 켈러는 청력과 시력의 장애를 극복하고 사회운동을한"미국인으로 절망에서 희망을 길어올린 빛의 천사이며 그의저서로 "사흘만 볼 수 있다면"는 이 글을 '20세기 최고의 수필'로 꼽았다고하지요

Hua Shan Temple

Hua Shan Temple


DescriptionHua Shan Temple
DateTaken on 29 April 2007
SourcePhoto taken by Brian Dell. Released to the public domain.
AuthorBdell555 at en.wikipedia
LicensingThis work has been released into the public domain by its author, Bdell555 at the English Wikipedia project. This applies worldwide.


From Wikimedia Commons http://commons.wikimedia.org/

C-17 planes

C-17 planes


DescriptionEnglish: Thirteen C-17 Globemaster III aircraft fly over the Blue Ridge Mountains in Virginia during low level tactical training Dec. 20, 2005. These C-17 planes are assigned to the 437th and 315th Airlift Wings at Charleston Air Force Base, S.C.
Date20 December 2005
Sourcehttp://www.dodmedia.osd.mil/Assets/Still/2006/Air_Force/DF-SD-06-03299.JPEG
http://commons.wikimedia.org/
Authorphoto by Staff Sgt. Jacob N. Bailey, U.S. Air Force
PermissionPublic Domain
LicensingThis image or file is a work of a U.S. Air Force Airman or employee, taken or made as part of that person's official duties. As a work of the U.S. federal government, the image or file is in the public domain.


From Wikimedia Commons http://commons.wikimedia.org/

Carrizo Plain National Monument, CA

Carrizo Plain National Monument, CA


DescriptionCaliente Peak (1556 m—5106 ft) and the Caliente Range — seen from the Carrizo Plain with native Spring wildflowers, in Carrizo Plain National Monument.
Caliente Peak is the highest summit in the Caliente Mountains, which are in the southern Inner California Coast Ranges System.
Located in eastern San Luis Obispo County, central California.
The view is to the southwest, from the foothills at the southwest edge of the Carrizo Plain.
Date30 March 2003
SourceWikimedia Commons
AuthorAntandrus
Camera location.
PermissionPublic Domain
LicensingThe copyright holder of this work has released this work into the public domain. This applies worldwide.
In some countries this may not be legally possible; if so:
The copyright holder grants anyone the right to use this work for any purpose, without any conditions, unless such conditions are required by law.


From Wikimedia Commons http://commons.wikimedia.org/



Blue Girl

Blue Girl


DescriptionSource: http://openclipart.org/people/creohn/creohn_blue_Girl.svg
Date26 March 2007 (original upload date)
SourceOriginally from en.wikipedia; description page is/was here.
http://commons.wikimedia.org/wiki/File:BlueGirl.svg
AuthorOriginal uploader was SlimVirgin at en.wikipedia
PermissionPublic Domain / PD-OPENCLIPART.
LicensingThis file is from the Open Clip Art Library, which released it explicitly into the public domain

This file is made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CC0 1.0 Universal Public Domain Dedication


From Wikimedia Commons http://commons.wikimedia.org/

아빠의 포옹 그리고 스킨십

아빠의 포옹 그리고 스킨십


'스킨십은 말보다 강하다.'

육체적인 접촉 없이 자란 아이들보다 안아 주거나 입맞춤을 해준 아이들이 훨씬 건강하게 자란다고 합니다. 아버지가 딸을 많이 안아 주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그들은 아빠의 품에 안겨 여성성을 키워 나갑니다. 아들은 아빠의 품에 안겨서 남성성을 키워 나갑니다. 토마스 카알라일은 "우주에는 성전이 하나뿐인데 그것은 인간의 몸이다. 인간의 몸에 손을 댈 때에 우리는 하늘을 만진다."고 말했습니다.

- 김성묵 한은경의《고슴도치 부부의 사랑》중에서 -


아이들은 사랑을 먹고 자랍니다. 부모의 따뜻한 포옹과 스킨십은 아이들의 가슴을 덥혀주고 그 온기가 고스란히 세포 속에 남아, 그 아이가 자라면서 사랑이 고갈될 때마다 다시 되살아나 가슴을 덥히는 위력을 발휘합니다. 사랑이 담긴 부모의 손끝에 하늘 같은 아이들의 일생이 달려 있습니다.

- 윗 글을 보고 적은 누군가의 글 중에서 -


아이를 키운다는 것... 키운지 얼마 안되고, 그나마 대부분 회사에 있느라 키웠다고 하기는 커녕 얼굴보기 힘든 날이 더 많았습니다. 아는 건 없지만 윗 글을 보며 떠오르는 생각들.

혹자는 윗 글 처럼 많이 안아주는게 좋다고 하고, 혹자는 그러면 의존적이 되므로 아이한테 오히려 안 좋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심지어 어떻게 키우느냐에 대한 '기술'에 있어서도, 혹자는 마음이 더 중요하다고 하고, 혹자는 마음은 전해질 수 없으니 기술이 더 중요하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물론 둘 다 중요하다가 정답이겠지만...

기술도 중요할 겁니다. 그러나 어른처럼 아이들도 똑같은 행동을 사람마다 받아들이는게 다르니 아이를 키우는데 있어 '기술적인 정답'을 찾기는 힘들겁니다.

그러나 부모의 진정은 언젠가는 알게 될테니, 아이를 진심으로 대하고, 사랑하는 만큼은 안아주는 게 좋으리라는 생각을 해 봅니다. 기술에는 정답이 없더라도 진심에는 정답이 있지 않을까요?

Goldfields, Carrizo Plain

Goldfields, Carrizo Plain National Monument, CA


DescriptionGoldfields (Lasthenia species).
At Carrizo Plain National Monument — located in eastern San Luis Obispo County, central California.
One of the most abundant ground-covering flowering plants in normal to wet years in the Carrizo Plain. Subtle sweet scent, especially on warm days. They flower until early May in most years
카리조 대평원의 노란 라세니아
Date21 January 2007
SourceWikimedia Commons
AuthorAntandrus
Camera location.
PermissionPublic Domain
LicensingThe copyright holder of this work has released this work into the public domain. This applies worldwide.
In some countries this may not be legally possible; if so:
The copyright holder grants anyone the right to use this work for any purpose, without any conditions, unless such conditions are required by law.


From Wikimedia Commons http://commons.wikimedia.org/



Female Student

Female Student


DescriptionFemale Student Manga Style.
Date29 December 2006
SourceOpen Clip Art Library image's page http://www.openclipart.org/detail/2363
Authorpaulliu
PermissionPublic Domain
LicensingThis file is from the Open Clip Art Library, which released it explicitly into the public domain.


From Wikimedia Commons http://commons.wikimedia.org/

Paradise Cove Pier, Malibu, CA

Paradise Cove pier in Malibu, CA


DescriptionEnglish: Paradise cove pier in Malibu, CA
Date2 May 2006 (original upload date)
SourceWikimedia Commons
AuthorEmustonen at English Wikipedia
Camera location.
PermissionGFDL / CC-BY-SA-3.0
LicensingThe copyright holder of this work has published it under the following licenses:


This file is licen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 Alike 3.0 Unported license.

You are free:
to share – to copy, distribute and transmit the work
to remix – to adapt the work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attribution – You must attribute the work in the manner specified by the author or licensor (but not in any way that suggests that they endorse you or your use of the work).
share alike – If you alter, transform, or build upon this work, you may distribute the resulting work only under the same or similar license to this one.


From Wikimedia Commons http://commons.wikimedia.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