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or und Pysche


Author: Joseph Heintz the Elder (1564–1609)

Title: Amor und Psyche
Date: circa 1605/1606
Current location: Schaezlerpalais, Augusburg, Germany

Source: Wikimedia Commons (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Augsburg_Schaezlerpalais_Mattes_2013-05-05_(35).JPG)
Photographer: Mattes

Licensing: Public domain


Aurora Australis

Aurora Australis


DescriptionEnglish: A full moon and 25 second exposure allowed sufficient light into this photo taken at Amundsen-Scott South Pole Station during the long Antarctic night. The new station can be seen at far left, power plant in the center and the old mechanic's garage in the lower right. Red lights are used outside during the winter darkness as their spectrum does not pollute the sky, allowing scientists to conduct astrophysical studies without artificial light interference. There is a background of green light. This is the Aurora Australis, which dances thorugh the sky virtually all the time during the long Antarctic night (winter).The photo's surreal appearance makes the station look like a futuristic Mars Station.
DateJuly 2005
Sourcehttp://www.nsf.gov/
http://commons.wikimedia.org/
AuthorPhoto by Chris Danals, National Science Foundation
Camera location90° 00′ 00″ S, 139° 16′ 00″ W
PermissionPublic Domain
LicensingThis image is a work of a National Science Foundation employee, taken or made as part of that person's official duties. As a work of the U.S. federal government, the image is in the public domain.


From Wikimedia Commons http://commons.wikimedia.org/

Ferchensee (퍼쉔호수)

Ferchensee (퍼쉔호수)


DescriptionDeutsch: Ferchensee mit Blick auf den Karwendel, Juli 2011. Foto: F. Welter-Schultes
Korean: 퍼쉔호수
Date1 January 2007
Sourcehttp://commons.wikimedia.org/
AuthorFranciscoWelterSchultes
Camera location47° 26′ 21.4″ N, 11° 12′ 43.43″ E
PermissionPublic Domain / CC-zero
LicensingThis work has been released into the public domain by its author.


From Wikimedia Commons http://commons.wikimedia.org/

Everland Speedway

Description:
English: Yong-In Everland Speedway, South Korea

Date: 9 April 2006
Source: Wikimedia Commons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Umbrella_girl.JPG)
Author: HunkinElvis

Licensing: Public domain

Sundries: 보이지 않는 은인

Sundries: 보이지 않는 은인

어떤 이의 존재로 인해 자신이 분명 행복해졌다고 믿는 그런 사람이 누구의 생애든 반드시 있게 마련이다. 나에게도 실로 많은 은인이 있다. 그중 수십 명은 직접 아는 사람이지만, 나머지는 나 같은 팬이 있다는 사실도 전혀 눈치채지 못하는 사람이다. 상대에게 내가 좋아했다는 마음을 평생 알리지 않고 끝나는 것도 순수한 삶의 한 방법이다.

- 소노 아야코의《사람으로부터 편안해지는 법》중에서-

은인. 알게 모르게 도움을 주고 은혜를 베푸는 고마운 사람입니다. 늘, 누군가에게 도움을 주면서도 잘 드러나지 않는 '보이지 않는 은인'이 되시길


'Sundries: 보이지 않는 은인'에서 옮긴 글입니다.

Grid-Girls


Description:
Русский: Russian grid-girls. Marina Kuznetsova and Lilia Osipova. Russian Touring Car Championship (RTCC). Saint-Peterburg. 25.09.2011

Date: 2011
Source: Wikimedia Commons (https://commons.m.wikimedia.org/wiki/File:Grid-girl.jpg)
Author: Messir

Licensing:
This file is licen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 Alike 4.0 International license.


Cetonia aurata on Amelanchier ovalis fruits

Cetonia aurata on Amelanchier ovalis fruits


DescriptionEnglish: Cetonia aurata on Amelanchier ovalis fruits. Location: Borodianka raion, Kiev oblast, Ukraine
Green rose chafer, Goldsmith beetle
아멜란치어 오발리스(오발리스채진목) 열매 위의 아라아타 점박이꽃무지
Date30 June 2013
Sourcehttp://commons.wikimedia.org/
AuthorАимаина хикари
Camera location50° 34′ 18.84″ N, 29° 58′ 10.15″ E
PermissionPublic Domain / CC-Zero
LicensingThis work has been released into the public domain by its author.

This file is made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CC0 1.0 Universal Public Domain Dedication.

The person who associated a work with this deed has dedicated the work to the public domain by waiving all of his or her rights to the work worldwide under copyright law, including all related and neighboring rights, to the extent allowed by law. You can copy, modify, distribute and perform the work, even for commercial purposes, all without asking permission.
기후온대기후
분포유럽, 동남아시아
크기수컷 15~25mm, 암컷 10~20mm
서식장소숲, 초지


From Wikimedia Commons http://commons.wikimedia.org/

“10분에 100 kcal” 효력 만점 운동 5가지

“10분에 100 kcal” 효력 만점 운동 5가지

실내자전거•라켓볼•농구도 가능

헬스장이나 체육관에 가지 않고 평소에 쉽게 살을 뺄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카부들 닷컴(Kaboodle.com)’에서 많은 장비를 갖추지 않고 10분 안에 100칼로리를 태울 수 있는 운동 5가지를 소개했다.

◆새도우 복싱=가상의 적을 상대로 가상의 권투 스파링을 하는 것을 말한다. 실내에서 쉽게 할 수 있다. 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발끝으로 뛰면서 가상의 적을 향해 펀치를 날리는 동작을 하면 된다. 10분 동안 107칼로리를 소모시킬 수 있으며, 배와 다리, 팔 근육도 강해진다.

◆줄넘기=최근에 줄넘기를 해 본 적이 있는가. 초등학교 때 운동장에서 하던 것만큼 쉽게 되지 않았을 것이다. 10분 동안 적당한 속도로 줄넘기를 해도 119칼로리를 태울 수 있다. 속도를 높이거나 점프를 더 높게 하면 10분에 142칼로리까지 소모시킬 수 있다.

◆계단오르내리기=점심시간에 할 수 있는 아주 좋은 운동이다. 10분 동안 가능한 한 빨리 계단 오르내리기를 하면 178칼로리를 태울 수 있다. 한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은 구두나 특히 하이힐 등을 신고는 절대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운동화를 신고 해야 한다.

◆점핑 잭스=거수 도약 운동을 말한다. 차렷 자세에서 뛰면서 발을 벌리고 머리 위에서 양손을 마주쳤다가 다시 원상태로 돌아오는 동작을 말한다. 이런 점핑 잭스를 10분 동안 하면 놀랍게도 100칼로리가 소모된다. 10분 이상 할 때는 5분 정도 휴식 시간을 가진 뒤 해야 한다.

◆물 속 조깅=수영장에 갈 수 있는 여건이 된다면 꼭 해볼 만한 운동이다. 팔로 물을 저으며 물속에서 조깅을 하면 엄청난 칼로리를 태우면서 날씬한 몸매를 만들 수 있다.

위의 5가지 방법 외에 △시속 10마일 이상으로 실내자전거 타기 △시속 4마일 이상으로 트레드밀에서 걷거나 뛰기 △라켓볼 △농구 등도 10분 정도 했을 때 100칼로리를 태울 수 있는 운동들이다.


받은 글입니다.

Actaea spicata

Actaea spicata


DescriptionEnglish: Actaea spicata in Holosiiv forest, Kiev, Ukraine
노루삼속(屬)의 식물 열매 (독이 있으나, 약용으로도 사용)
Date29 June 2014
Sourcehttp://commons.wikimedia.org/
AuthorАимаина хикари
Camera location50° 22′ 11.55″ N, 30° 28′ 51.52″ E
PermissionPublic Domain / CC-Zero
LicensingThis work has been released into the public domain by its author.

This file is made available under the Creative Commons CC0 1.0 Universal Public Domain Dedication.

The person who associated a work with this deed has dedicated the work to the public domain by waiving all of his or her rights to the work worldwide under copyright law, including all related and neighboring rights, to the extent allowed by law. You can copy, modify, distribute and perform the work, even for commercial purposes, all without asking permission.


From Wikimedia Commons http://commons.wikimedia.org/

사람의 향기

사람의 향기

세상에 아름다운 것이 셋 있다.
아가, 아가씨, 꽃.

하나는 피지만 둘은 진다.
언제나 머물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오래 가는 것이 있다.
사람의 향기다.

오래도록 향기가 나는 사람이 있다.

-문태성 님, '사람의 향기' -


사색의향기님(culppy@culppy.org)께서 보내주신 향기메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