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성공.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성공. Show all posts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는 방법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는 방법

회사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만 쏟아내는 사람도 아니고, 열심히 일만 하는 사람도 아닐 것 입니다. 기업이라는 조직이 좋아하는 인재는 오직 하나. 결과를 성공적으로 이끌어내는 인재입니다. 따라서 [목표를 달성하는 능력]은 어떤 기업에서라도 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는 5단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단계, 동기발견

어떤 일을 하고 싶다는 에너지를 찾거나 키워가는 단계다. 하지만 누군가에 의해 동기가 부여된다면 그 사람은 항상 동기부여자가 필요하다. 따라서 스스로 동기를 끌어낼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이런 사람은 대체로 꿈이 있고, 비전이 분명하다.

2단계, 목표설정

명확하고 분명한 목표를 선택하는 것 이야말로 우리가 무엇을 위해, 어디를 향해 달려가야 하는지를 결정해준다. 어떤 목표를 설정할지 분명히 아는 사람은 그렇지 못한 사람보다 자신의 삶을 훨씬 더 적극적으로 살아갈 수 있다.

3단계, 성공계획

아무리 멋진 목표라 할지라도 그것을 실제로 성공시킬 수 있는 좋은 계획이 수립되지 않는다면, 모든 목표는 Goal이 아니라 Dream으로 끝난다. 6가지 자원, 즉 시간, 지식, 건강, 인맥, 재정, 정신을 목표에 맞게 측정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나열하는게 시간관리인 셈이다. 모든 목표에는 그에 적합한 6대 자원의 양과 형태가 있다. 따라서 계획을 잘 세우는 사람은 목표에 대해 분명한 의식을 갖고 있다.

4단계, 즉시실행

1~3단계가 제대로 이루어진다면 그 목표는 절대 미루지 않는다. 만일 무언가를 계속 미루고 있다면 앞서 1~3단계에 허점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미루고 있는 일을 더 이상 미루고 싶지 않다면 1~3단계를 하나하나 살펴보면서 무엇에 허점이 있는지 살펴보자. 인간은 자신이 하고 싶거나 해야 할 일을 미루는 존재가 아니다. 그럼에도 계속 미루고 있다면, 그 목표에는 뭔가 흠이 있다고 봐야 한다.

5단계, 점검보완

아무리 계획을 잘 세워도 성공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1~4단계를 제대로 했다고 판단했는데 결과를 얻지 못했다면, 점검과 보완을 통해 재추진을 해야 한다. 여러 가지 요인을 분석한 후 달성할 수 밖에 없도록 1~4단계를 추진하는 단계가 바로 점검.보완 단계다.

출처 : 시간을 지배하라


ALPACO [alpha@alpaco.co.kr]에서 받은 글입니다.

1도 차이 (유영만)

1도 차이

물은 100도에 이르지 않으면 결코 끓지 않습니다. 증기기관차는 수증기 게이지가 212도를 가리켜야 움직입니다. 99도, 211도에서는 절대로 변화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고작 1도 차이일 뿐인데도 말입니다. 용기는 집요함을 요구합니다. 마지막 1퍼센트의 인내가 인생의 성패를 좌우합니다.

- 유영만의《용기》중에서 -


시험도 1점 차이로 합격 불합격이 갈립니다. 올림픽은 더 해서 불과 0.01초 차이로 메달 순위가 바뀝니다. 다 끝났다 싶을 때 한 번 더 살펴보고, 더 이상 길이 없다 싶을 때 한 걸음 더 나가야 '변화'가 옵니다. 마지막으로 한 번 더! 한 걸음만 더! 여기에 성공의 비결이 있습니다.


받은 글입니다.

실패란 나침반

실패란 성공이란 진로를 알려주는 나침반이다.

- 데니스 윌트리 -


누구나 겪게 되는 실패입니다. 그런 실패가 인생의 끝이 되느냐, 성공의 남침반이 되느냐는 그것을 어떻게 받아들이냐에 달려있을 겁니다.

[Y^^K]: 가치있는 사람

[Y^^K]: 가치있는 사람

성공한 사람이 되려하지 말고 가치있는 사람이 되려고 하라.
- 아인슈타인 -



대통령의 꿈을 이룬 사람들 중에 목표가 대통령 그 자체였던 분들도 많습니다. 정치인으로서의 성공 그 자체에 초점을 맞췄던 그분들에 대한 평은 좋지 못했습니다. 대통령이 되어서 나라를 위해 어떤 일을 하겠다는 생각없이 대통령 그 자체가 되려 했기 때문입니다.

그런 분들을 보며 가치있는 사람이 되라는 아인슈타인의 말이 떠오릅니다.


http://nowgnoy3.blogspot.com/2010/08/blog-post_17.html에서 옮긴 글입니다.